혜성
본문 바로가기

천문학

혜성

혜성은 태양계에 속하지만 우리 지구와 같은 행성과는 크게 다릅니다. 대개 작은 핵과 그 둘레를 희미하게 에워싼 코마와 길게 뻗은 꼬리로 이루어진 것이 표준형 혜성입니다.

태양에서 아주 멀리 떨어져 있을때에는 혜성이 어둡고 거의 핵뿐인 모습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태양에 가까워질수록 밝아져서 핵의 둘레에 코마가 퍼지기 시작하고, 이어서 꼬리가 길게 뻗치기 시작합니다. 이렇게 혜서의 모습이 변하는 것은 태양과의 거리와 관계가 있는 듯합니다. 혜성이 변하는 상황을 더듬어 봅시다.

혜성이 태양에 가장 가까이 다가서는 곳을 근일점이라 합니다. 혜성이 가장 밝고 커질 때는 이 근일점을 지날 무렵입니다.  혜성을 비추는 햇빛이 점점 세져서 밝게 빛나게 됩니다. 또 태양의 열을 받아서 얼음덩이로 뭉쳐 있던 핵의 가스가 증발해 코마와 꼬리가 되고 스스로 빛을 냅니다.

혜서의 가장 별나 점은 뭐니뭐니해도 밤하늘에 나부끼는 얇은 면사포 같은 꼬리일것입니다. 그러나 이 멋진 꼬리가 모든 혜성에 다 있지는 않습니다. 꼬리는 커다란 혜성이 태양 가까이 이르렀을때에만 길게 뻗칩니다.

혜성의 꼬리는 언제나 태양의 반대쪽으로 뻗칩니다. 이 꼬리는 핵에서 증발한 가스와 먼지가 햇빛의 압력과 태양 바람에 날려서 생기기 때문입니다.

태양의 반대쪽으로 뻗친 꼬리도 자세히 보면 곧은 것과 좀 구부러진 것으로 두 가지가 있습니다. 곧은 꼬리는 가스로 된 것이지만, 굵고 구부러진 것은 햇빛의 압력에 날린 먼지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태양에서는 전기를 띤 알갱이들이 늘 사방으로 센 바람처럼 뿜어져 나오는데, 이 알갱이들의 흐름을 태양 바람이라고 합니다. 태양 바람이 혜성의 코마에 부딪치면 그 알갱이들의 전기 때문에 가스가 바깥쪽으로 날려서 곧은 꼬리가 되어 뻗칩니다. 구부러진 먼지 꼬리는 햇빛을 받아서 빛날 뿐이지만,곧은 가스 꼬리는 제 힘으로 빛을 냅니다. 혜성의 꼬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햇빛의 압력과 태양 바람만은 아닙니다. 태양의 표면에서서 일어나는 폭발 따위로도 혜성의 꼬리에 큰 변화가 생깁니다. 이런 것으로 보아서는 혜성의 꼬리와 태양의 활동 사이에 깊은 관계가 있는 듯합니다. 혜성의 꼬리는 태양과 반대쪽으로 뻗는다고 했는데, 가끔 태양 쪽으로 뻗은 것이 보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사실은 혜성이 궤도에 남기고 간 모래 알갱이들이 지구에서 볼 때에 태양을 향해서 뻗은 꼬리처럼 보일 뿐입니다. 혜성의 꼬리가 태양의 복잡한 활동으로 말미암아 여러 가지로 변하는 것을 알았습니다. . 근일점을 지나면 혜성은 다시 머나먼 고향을 향해서 멀어져 갑니다. 태양에서 멀어지면서 밝기도 떨어지고 꼬리도 자취를 감추어 우리시야에서 사라집니다. 혜성 가운데에는 기껏 6년쯤의 아주 짧은 주기로 태양의 둘레를 도는 것이 있습니다. 먼 옛날 목성과 같은 큰행성에 가까이 다가선 혜성이 강한 인력을 받아서 작은 타원 궤도로 구부러졌기 때문입니다. 혜성은 아주 가벼워서 힘으로는 행성을 당해 내지 못하니까 쉽게 궤도가 바뀐 것입니다. 이상하게도 목성의 궤도 가까이 왔다가 태양으로 되돌아 가는 주기 혜성이 많습니다. 이런 것들을 목성족 혜성이라고 합니다. 틀림없이 행성 가 운데서 천하 장사인 목성에 붙들려서 퀘도가 바뀐 혜 성들 일 것입니다. 목성의 궤도 부근에서 되돌아가는 주기 혜성이 목성족이라면, 토성의 궤도 부근에서 되돌아가는 것은 토성족입니다. 76년 주기로 도는 유명한 핼리 혜성은 해왕성 가까이 갔다가 돌아오기 때문에 해왕성족 혜성입니다. 그러나 핼리 혜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행성의 천하 장사인 목성입니다. 밤하늘을 가로질러 날아가는 별똥별, 곧 유성은 혜성이 뿌리고 간 먼지입니다. 이 먼지가 지구의 대기 속으로 초속 10킬로미터에 가까운 속력으로 뛰어들어서 빛나는 것입니다. 혜성이 가스나 먼지를 뿌리면서 태양의 둘레를 몇십 바퀴씩 돌다 보면 가스와 먼지를 모두 잃고 핵만 남습니다. 그렇게 된 혜성은 소행성과 전혀 구별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소행성 가운데에는 혜성의 남은 찌꺼기로 짐작되는 것이 여럿 있습니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점성술  (0) 2021.09.13
혜성  (0) 2021.09.13
유성  (0) 2021.08.15
화성  (0) 2021.07.18
지구  (0) 2021.07.18